Open Access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

Login Library

 

Article
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
Metadata Downloads
Full metadata record
Files in This Item:
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.
DC FieldValueLanguage
dc.contributor.author최인오-
dc.contributor.author김시호-
dc.contributor.author정주호-
dc.contributor.author김경태-
dc.contributor.author박상홍-
dc.date.accessioned2019-12-04T15:50:24Z-
dc.date.available2019-12-04T15:50:24Z-
dc.date.created2019-08-01-
dc.date.issued2019-06-
dc.identifier.issn1226-3133-
dc.identifier.urihttps://oasis.postech.ac.kr/handle/2014.oak/100319-
dc.description.abstract탄도미사일은 작은 레이다 단면적 및 빠른 기동 특성으로 인하여 탐지가 매우 힘들며, 또한 탄도미사일의 각 비행단계에서 탄두와 유사한 운동 변수로 기동하는 연료탱크 및 기만체의 존재로 인하여 탄두의 식별 및 요격이 매우 어렵다. 따라서 비행 단계에 따라 표적의 기동 및 미세운동을 이용한 특성벡터가 필요하며, 또한 이를 적절히 융합하여 비행단계에 상관없이 식별하는 방법이 요구된다. 본 연구에서는 탄도미사일의 비행단계에 따른 유용한 특성벡터를 소개하고, 이를 특성벡터 및 구분기 레벨에서 융합하는 효과적인 기법을 제안한다. CAD 모델들을 사용하여 예측된 레이다 신호들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, 구분기 레벨 융합을 통하여 잡음환경 내에서 비행단계에 상관없이 종말 단계로 갈수록보다 향상된 탄두 식별이 가능하였다.-
dc.languageKorean-
dc.publisher한국전자파학회-
dc.relation.isPartOf한국전자파학회 논문지-
dc.title비행 단계별 특성벡터 융합을 통한 효과적인 탄두 식별방법-
dc.title.alternative--
dc.typeArticle-
dc.type.rimsART-
dc.identifier.bibliographicCitation한국전자파학회 논문지, v.30, no.6, pp.487 - 497-
dc.identifier.kciidART002482284-
dc.citation.endPage497-
dc.citation.number6-
dc.citation.startPage487-
dc.citation.title한국전자파학회 논문지-
dc.citation.volume30-
dc.contributor.affiliatedAuthor최인오-
dc.contributor.affiliatedAuthor정주호-
dc.contributor.affiliatedAuthor김경태-
dc.description.journalClass2-
dc.description.journalClass2-
dc.description.isOpenAccessN-
dc.subject.keywordAuthorMissile Recognition-
dc.subject.keywordAuthorMicro-Doppler-
dc.subject.keywordAuthor3DFV-
dc.subject.keywordAuthorBallistic Factor-
dc.subject.keywordAuthorFeature Fusion-
dc.subject.keywordAuthor--
dc.description.journalRegisteredClasskci-

qr_code

  • mendeley

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, with all rights reserved, unless otherwise indicated.

Related Researcher

Researcher

김경태KIM, KYUNG TAE
Dept of Electrical Enginrg
Read more

Views & Downloads

Brows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