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pen Access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

Login Library

 

Thesis
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
Metadata Downloads
Full metadata record
Files in This Item:
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.
DC FieldValueLanguage
dc.contributor.author김주희-
dc.date.accessioned2022-03-29T02:57:20Z-
dc.date.available2022-03-29T02:57:20Z-
dc.date.issued2019-
dc.identifier.otherOAK-2015-08399-
dc.identifier.urihttp://postech.dcollection.net/common/orgView/200000176953ko_KR
dc.identifier.urihttps://oasis.postech.ac.kr/handle/2014.oak/111204-
dc.descriptionDoctor-
dc.description.abstractT세포는 면역반응을 조절하거나 종양세포, 이식된 세포 그리고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파괴한다. 성숙한 T세포의 다양성과 전체 크기를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T세포 항상성은 IL-7과 자가 항원 복합 수용체를 통해서 유지된다. 그러나 T 세포가 감소된 환경에서는 축적된 IL-7과 자가 항원 복합 수용체 신호를 통해 T세포가 분열되는데 이를 T세포 항상성 분열이라 한다. 특히, T세포가 만성으로 결핍된 마우스에서 이러한 분열이 증폭되는데 이는 항원 의존적 반응임을 선행된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. 이러한 항원 특이적 분열은 T 세포 항상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반응 임에도 불구하고 발생 기전 및 생리학적 기능에 대해서 아직까지 충분한 연구와 이해가 부족하다. 본 연구에서는 면역세포가 결핍된 환경에서 항원 특이적 분열로 인한 항상성 분열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혀내었다. 우선, 선천적으로 면역세포가 결핍된 마우스 (RAG-/-)에서 다클론 CD4+ T세포와 다클론 CD8+ T세포를 각각 주입하였을 때보다 함께 주입하였을 때 각 세포에서 분열이 빠르게 촉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. 공여자 세포와 수여자 세포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다클론 CD4+ T세포와 단일클론 CD8+ T세포 (OT-I T 세포)를 함께 주입하였을 때 항원이 없는 환경에서도 OT-I T세포가 항원 특이적 분열만큼 빠르게 분열되는 것을 발견하였다. 이러한 작용을 매개하는 요소를 찾기 위해 (공여자) CD4+ T세포의 항원 특이적 분열에서 IL-2가 과도하게 생성되는 특성을 주목하였다. IL-2는 주로 T세포에서 생성되고 CD8+ T세포 분열에서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. IL-2가 생성되지 않는 CD4+ T세포와 OT-I T세포를 선천적으로 면역세포가 결핍된 마우스에 함께 주입하였을 때 (공여자) CD4+ T세포가 항원 특이적 분열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(수여자) OT-I T세포에서는 빠르게 분열되지 않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. 이러한 현상은 정상 CD4+ T세포와 OT-I T세포를 동일한 마우스에 함께 주입하고 IL-2를 막는 항체 (S4B6와 JES6-1)를 처리하였을 때도 OT-I T세포가 빠르게 분열되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. 더욱이, CD4+ T세포의 영향을 받아 빠르게 분열된 OT-I T세포는 비장과 림프구에서 나와 조직으로 옮겨져 병원성 감염에 대응하는 effector 혹은 memory T 세포로 분화되는 현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. 흥미롭게도 상기 만성 면역세포 결여 마우스에서 관찰된 이러한 현상은 방사선 조사나 면역억제 시약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면역세포를 제거한 마우스에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 함으로써, IL-2 유도성 항원 비 의존적 T 세포 분열 현상이 일반화된 기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. 결론적으로, 본 연구를 통해 CD4+ T세포의 항원 특이적 분열이 CD8+ T세포 항상성 분열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. 이러한 연구는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는 항암치료 모델에 응용되어 항암면역치료법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.-
dc.description.abstractThe fast and intense proliferative responses have been well documented for naïve T cells adoptively transferred into chronic lymphopenic hosts. This response known as spontaneous proliferation (SP), unlike antigen-independent lymphopenia-induced proliferation (LIP), is driven in a manner dependent on antigens derived from commensal microbiota. However, the precise nature of the SP response and its impact on homeostasis and function for T cells rapidly responding under this lymphopenic condition are still unclear. Here I demonstrate that, when naïve T cells were adoptively transferred into specific pathogen-free (SPF) but not germ-free (GF) RAG-/- hosts, the SP response of these cells substantially affects the intensity and tempo of the responding T cells undergoing LIP. Therefore, the resulting response of these cells in SPF RAG-/- hosts was faster and stronger than the typical LIP response observed in irradiated B6 hosts. Although the intensity and tempo of such augmented LIP in SPF RAG-/- hosts were analogous to those of antigen-dependent SP, the former was independent of antigenic stimulation but most importantly, dependent on IL-2. Similar observations were also apparent in other acute lymphopenic settings where antigen-dependent T cell activation can strongly occur and induce sufficient levels of IL-2 production. Consequently, the resulting T cells undergoing IL-2-driven strong proliferative responses showed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functional effector and memory cells that can control infectious pathogens. These findings therefore reveal previously unappreciated role of IL-2 in driving the intense form of T cell proliferative responses in chronic lymphopenic hosts.-
dc.languageeng-
dc.publisher포항공과대학교-
dc.title면역세포 결핍 마우스에서 CD4+ T세포의 활성화가 CD8+ T세포의 분열 반응을 증폭시키는 현상과 기전 규명-
dc.title.alternativeSpontaneous proliferation of CD4+ T cells in RAG-deficient hosts promotes antigen-independent but IL-2-dependent strong proliferative response of naïve CD8+ T cells-
dc.typeThesis-
dc.contributor.college일반대학원 융합생명공학부-
dc.date.degree2019- 2-

qr_code

  • mendeley

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, with all rights reserved, unless otherwise indicated.

Views & Downloads

Browse